그림 96

발 근육과 지방층에 대해서

발 근육과 지방층에 대해서 발 근육과 지방층에 대해서 해부학 공부를 진행한지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제는 끝을 향해 갈 시간입니다. 발대 대해서 이해하기위해선 우선 발 뼈에대해서 이해 해야합니다! 발뼈에 대해서 이해했다면, 9할 이상은 완성된것입니다. 그외에 자잘한 근육이나 지방, 피부주름으로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혹시 발뼈에대해 보지 못했다면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https://lenserd.tistory.com/43 발뼈 에대해서 발뼈 에대해서 발뼈 에대해서 이번엔 발 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한다. 아마 처음부터 해왔다면 지금이 순간 마지막 골격공부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발은 생각보다 유연합니다. 따라서 변형이 lenserd.tistory.com 지방층 발바닥은 뼈를 보호하는 대표적인 지방층입니다..

그림/해부학 2021.10.09

종아리 앞근육에 대해서

종아리 앞근육에 대해서 종아리 앞근육에 대해서 네, 언어적 표현이 이상한거 알고있습니다. 종아리 앞근육.... 허벅지 뒷근육은 햄스트링이라고한다면 종아리 앞근육은 뭐라고 해야하는질 모르겠네요. 대충 종아리 근육했으니 앞근육 한다고 생각하면 좋을것같습니다. 혹시 더 좋은 표현이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ㅠㅠ 종아리 앞에있는 근육들은 발가락을 움직이는 근육들입니다. 늘 그랬듯, 기본 도형으로 형태를 잡고 실습하는 패턴으로 갈 것입니다. 종아리 앞근육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면부 전경골근(前脛骨筋, Tibialis Anterior) 장무지신근(長拇趾伸筋, Extensor Hallucis Longus) 장지신근(長趾伸筋, Extensor Digitorum Longus) -측면부 단비골근(短腓骨筋, Peroneus..

그림/해부학 2021.09.18

종아리 근육에 대해서

종아리 근육에 대해서 종아리 근육에 대해서 이번엔 종아리 근육에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종아리 근육은 기본적으로 2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힘줄로 구성되어있죠 비복근(排腹筋, Gastrocnemius) 비근(腓筋, Soleus)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비근(腓筋, Soleus) 비근(腓筋, Soleus) Origine: 비골 상단과 경골의 발바닥 선 Insertion: 아킬레스건을 통한 종골 Antagonist: 전경골근 Function: 발을 구부립니다 Form: 외부는 높고 내부는 낮습니다. 외측에는 긴 관 모양으로, 내측에는 짧은 계란형 모양으로 나타나며 윗부분은 비복근으로 덮여 있습니다. 얇은 판 모양의 아킬레스건이 등을 덮고 있어 보통 형태에는 영향을 ..

그림/해부학 2021.09.13

햄스트링에 관해서

햄스트링에 관해서 햄스트링에 관해서 (슬굴곡근(膝屈曲筋, Hamstring) 이하 햄스트링 저번 시간에는 무릎을 곧게 펴고 엉덩이를 구부리는 다리 앞 근육을 알아보았다면, 이번엔 무릎을 굽히고 엉덩이를 곧게펴는 다리 뒷쪽 근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햄스트링은 상완이두근과 그 형태와 하는일이 매우 유사합니다. 이러한 점에 유의하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복(Muscle Bellies)의 형태 근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햄스트링은 4개의 근복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바깥쪽에 있는 두개는 대퇴이두근의 긴머리와 짧은머리 안쪽에있는 두개는 반막양근과 반건양근입니다. 반건양근(半腱樣筋, Semitendinosus) 반막양근(半膜樣筋, semimembranosus) 대퇴이두근(大腿二頭筋, Biceps Femoris..

그림/해부학 2021.09.09

대퇴사두근에 대해서

대퇴사두근에 대해서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 Quadriceps Femoris)에 대해서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 Quadriceps Femoris)에 대해서 알아볼 시간입니다. 이름그대로 대퇴에사는 머리4개달린 근육입니다. 이리 말하니 무슨 괴물하나 키우고있는거같네요. 4개의 머리들의 이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측광근(內側廣筋, Vastus Medialis) 외측광근(外側廣筋, Vastus Lateralis) 대퇴직근(大腿直筋, Rectus Femoris) 중간광근(中間廣筋, Vastus Intermedius) 대퇴사두근의 형태를 보면 흔히 말하는 무릎(슬개골)에 부착되어있고 다른부분은 대퇴골에 부착되어있는것 처럼 보이나 대퇴직근 혼자 골반에서 시작합니다. 이는 앞서배운 대퇴근막장근과 봉공근이 만드는v에 ..

그림/해부학 2021.09.05

내전근에 대해서

내전근에 대해서 내전근에 대해서 앞에서 내전근에 대해 다루었으나, 새부적인 근육의 형태나, 구성은 다루지 아니하였습니다. 우리가 해부학을 배우는 이유는 최대한 명확한 인지와 구성을 통하여, 그리는 것에 대해 모호성을 최대한 줄여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구조적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그려내기위해서 자세한 근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과거에 대퇴골이 삼각형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이 내전근들은 삼각기둥의 모서리쪽에 붇어있습니다. 내전근들은 이름말그대로 내전기능을 가진 근육들입니다. 헬스나 일반적으로 내전근에 대한 이야기를많이하나, 내전근을 마치 하나의 근육인것 처럼 말하지만, 실제로 많은 근육들의 집단입니다. 이러한 집단의 구성을 알아봅시다. 내전근 그룹은 아래와같다. 장내전근(Addu..

그림/해부학 2021.09.04

다리 근육에 대해서(내전근, 봉공근)

다리 근육에 대해서(내전근, 봉공근) 다리 근육에 대해서(내전근, 봉공근) 이번엔 다리근육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봉공근(縫工筋, Sartorius) 내전근(內轉筋, Adductors) 봉공근은 긴 띠의 형태로 내전근과 대퇴 사두근을 대각선으로 분리합니다. 뒤쪽에서의 모습은 지방때문에 그리 명확하게 보이진 않지만, 햄스트링으로 분리된 내전근의 형태를 확인 할 수는 있습니다. (슬굴곡근(膝屈曲筋, Hamstring) 이하 햄스트링 이라 명칭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슬 굴곡근의 용어보다 햄스트링이 익숙할것 같네요. 지금 사용하는 명칭들을보면 옛날 의학명칭인데 이는 일본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이것을 우리말로 바꾸는 신명칭으로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기본적으로 영어, 한자, ..

그림/해부학 2021.09.03

엉덩이 근육에 대해서

엉덩이 근육에 대해서 엉덩이 근육에 대해서 PSIS(후상장골극)에 학습자료를 올릴때 비너스의 언덕에 대한 예시 사진등이 있었는데 그것때문에 블로그가 한번 정지를 먹었었다... 이번에도 정지를 먹으면 과감하게 다른 블로그로 갈아타는걸로... 학습을 위한 정리를 불건전하다니... 이번장에선 엉덩이에대한 근육과 지방에대한 이야기를 다뤄볼예정이다. 엉덩이에는 3개의 엉덩이 근육이 있는데, 중둔근(中臀筋, Gluteus Medius) 대둔근(大臀筋, Gluteus Maximus) 대퇴근막장근(大腿筋膜張筋, Tensor Fascia Latae) 사실 몇가지 다른것들도 많이있지만, 가려지거나 보이지 아니하기에 이 과정에서는 생략합니다! 우선 엉덩이에는 근육만 있는것이 아닙니다! 지방이 있어서 비로서 우리가 알던 둥근..

그림/해부학 2021.09.01

발뼈 에대해서

발뼈 에대해서 발뼈 에대해서 이번엔 발 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합니다. 아마 처음부터 해왔다면 지금이 순간 마지막 골격공부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발은 생각보다 유연합니다. 따라서 변형이 많이일어남으로 그리기가 힘들 것입니다. 우리가 배운 것중 비슷한 것으론 손이 있겠네요. 많은 디자이너들이 손과 발에서 그리기 힘듬을 호소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명시적인 간략화와 이해를 기반으로 해결해 나가려고합니다. 발의 구성 1. 족근골 (Tarsale, 足根骨) 2. 중족골(Metatarsals, 中足骨) 3. 지골(Phalanges, 趾骨) 아마도 발이 어려운 이유. ㅁ) 유연하다. - 발은 생각보다 유연합니다. 생각지도 못한 방향으로 꺽여있거나, 뒤틀려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ㅁ) 지면..

그림/해부학 2021.08.30

다리뼈에 대해서

다리 뼈에 대해서 다리 뼈에 대해서 이번 강의에선 다리뼈에 대해서 알아 보려고합니다. 다리는 걷고 달리고, 차고 뛰어 오르는 등 다양한 행위를 위한 요소입니다. 이는 중심에 대한 요소가 되며, 또는 역동적의 표현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리 뼈의 구성에 대해선 아래와 같습니다. 대퇴골(Femur, 大腿骨) 슬개골(Patella, 膝蓋骨) 경골(Tibia, 脛骨) 비골(Fibula, 腓骨) 대퇴골(Femur, 大腿骨) 대퇴골(Femur, 大腿骨) 대퇴골은 인체의 뼈중 가장 강하고 긴 뼈입니다. 대퇴골은 대략 두개골의 3개의 길이를 가지고있으며, 인체에서1/4를 차지합니다. 발을 포함한다면 아랫쪽 다리도 두개골의 3개의 길이를 차지합니다! 사람을 반으로 나누고 아랫쪽을 반으로 나누면, 대략적인 대퇴골의 길이가..

그림/해부학 2021.08.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