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해부학

손 근육에 대해서

Lenserd 2021. 8. 15. 14:16

 손 근육에 대해서 

손 근육에 대해서

전시간에 손뼈에 대해서 작성 한 적이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엔 손 근육에 대해서 작성 하려고합니다.

손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손 뼈에 대한 가동성 한계에대해서 모호성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손뼈에 대해서 이해를 하고 넘어 와야만 합니다.

 

손을 움직이기 위해서사용하는 근육은 우리가 배웠다싶이 하박부에 위치합니다. 손을 움직이는 근육이 손에 없다니!!

우리는 이러한 근육을 외인성(Extrinsic) 근육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이번에 다룰 근육들은 손안에(Intrinsic, 내인적) 있는 근육들이죠

 

근육으로 넘어와서 손에서의 근육들은 3개의 눈물 모양으로 그룹화 할수 있습니다. 

이 근육들은 손목에서 두껍고 손가락으로 갈수록 가늘어 집니다. 추가로 엄지손가락 바닥쪽 근육이 가장 큽니다.

 

손의 3개의 눈물 모양 근육 그룹

손가락은 어떨까요? 

손가락은 근육이 없습니다. 단지 뼈와 힘줄 지방으로만 구성되어있습니다. 근육들은 중수지절 관절전에 끝나버립니다.

그리고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있습니다. 엄지손가락은 2개의 마디가 있다는사실이죠

손가락의 형태

 

엄지손가락의 가동 행위를 봅시다.

 

손안으로 굽히기 &펴기

손바닥쪽으로 내리기 &올리기 

손가락쪽으로 움직이기 &돌아오기(대각선 움직임)

엄지손가락의 가동범위

 

 

 

모지구근(Thenar Eminence, 母指球筋)

모지구근(Thenar Eminence, 母指球筋)

모지구근은 엄지손가락쪽으로 뻗어져있는 큰 근육입니다. 우리가 알아볼 손 근육중 가장큰 근육입니다.

 

모지구근의 구성은 3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아래와 같습니다.

무지대립근(Opponens pollicis, 拇指對立筋)

단무지굴근(Flexor Pollicis Brevis, 短拇指屈筋)

단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Brevis, 短拇指外轉筋)

 

policis(拇)는 근육이 엄지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모지구근의 형태

 

단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Brevis, 短拇指外轉筋)

Origine:손목인대와 손목의 주상골 
Insertion: 엄지손가락의 내측 중수골, 바닥면
Function:엄지손가락의 외전
Form: 융기에서 가장 큰 근육. 구부러지면 두 개의 좁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무지외전근의 형태

아래와 같이 2개의 큰 덩어리로 보입니다. 

무지대립근의 실제 형태

그 외에도 손에는 주름이 생깁니다. 이는 눈섭을 올렸을때 이마에 주름이 생기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모지구근에서도 이러한 일이 일어납니다.

모지구군의 주름

 

단무지굴근(Flexor Pollicis Brevis, 短拇指屈筋)

Origine:손목인대와 손목의 주상골 
Insertion: 엄지손가락의 외측 중수골, 바닥면
Function:엄지손가락의 외전에서 굽힘 및 보조
Form: 삼각형 및 피하, 그러나 일반적으로 손바닥 지방에 의해 가려집니다.

 

 

일반적으로 지방층으로 인해서 잘 보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손의 지방을 공부가 필요해집니다.

단무지굴근의 형태

 

무지대립근(Opponens pollicis, 拇指對立筋)

Origine:손목인대와 손목의 주상골 
Insertion: 엄지손가락의 내측 중수골, 바닥면
Function:엄지손가락의 외전
Form: 편평한 삼각형 근육, 주로 단무지외전근에 의해 덮여 있습니다

 

 

단무지외전근 아래에 깔려있다.

 

 

무지내전근(Adductor pollicis, 拇指內轉筋)

Origine: 중지 중수골, 사다리꼴 및 머리뼈
Insertion: 기저부의 내측에 있는 엄지손가락의 첫 번째 지골
Function: 수근중수골 관절에서 엄지를 내전하고 굽힘을 보조
Form: 2개 삼각형과 평평한 배. 모지구근과 집게 손가락 사이의 전환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을 덮는 느슨한 피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2개의 덩어리로 되어있습니다. 실제로 이 근육은 보이지 않습니다. 허나 이 형태가 모지구군과 합쳐지는 피부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피부의 주름을 만들어내는 근육입니다.

 

 

 

 

 

소지구근(Hypothenar Eminence, 小指球筋)

소지구근(Hypothenar Eminence, 小指球筋)

 

소지구근은 4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래와같습니다.

소지대립근(opponens digiti minimi, 小指對立筋)

단소지굴근(flexor digiti minimi brevis, 短小指屈筋)

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 小指外轉筋)

단장근(palmaris brevis, 短掌筋)

 

 

소지구근은 새끼손가락 쪽에 있는 근육덩어리입니다. 엄지쪽보다 두껍진 않습니다.

소지구근의 형태

 

실제로 모지구근과 소지구근사이에 인대가있어 둘 사이에는 공간적 여백이 있습니다. 따라서 두덩어리가 겹쳐지지않고, 공간이 있으며, 비교적 얕아보이는 이유는 지방층 때문입니다.

모지구근과 소지구근 사이의 인대가 있다.

 

소지구근을 옆에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흔히 손날이라고 하는 부위는 근육때문에, 물렁물렁한 감각(뼈가아닌)을 느낄수 있습니다. 

 

 

 

 

소지대립근(opponens digiti minimi, 小指對立筋)

Origine: 유구골
Insertion: 새끼손가락 중수골을 따라 전체 척골 측면에 걸쳐
Function: 새끼손가락 중수골을 구부리고 옆으로회전(주먹을 쥐었을 때 새끼손가락을 내림)
Form: 표면에 보이지 않는 가장 깊은 근육

 

소지대립근의 형태

흔히 주먹을 쥐었을때 90도각도로 이쁘게 잡히지 않습니다. 저 근육이 새끼손가락을 안으로 당겨, 좀더 다이나믹한 곡선을 만들어 냅니다.

소지대립근에 의해 당겨진 새끼손가락

 

 

 

단소지굴근(flexor digiti minimi brevis, 短小指屈筋)

Origine: 유구골 및 손목 인대
Insertion: 새끼 손가락의 근위 지골 기저부
Function: 새끼 손가락의 근위 지골을 굴곡 및 외전
Form: 작고 좁은, 손바닥 지방에 의해 부드럽게보입니다.

 

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 小指外轉筋)

Origine: 두상골
Insertion: 새끼손가락 근위지골의 척측
Function: 중수지절관절에서 새끼손가락을 외전
Form: 최하 융기의 가장 큰 근육. 손의 척골 쪽을 따라 둥근 형태로 보입니다.

 

소지외전근의 형태

앞 뒤에서 다 보입니다.

손등에서 소지외전근의 형태

 

 

 

 

단장근(palmaris brevis, 短掌筋)

Origine: 손바닥 건막 및 손목 인대
Insertion: 손바닥의 새끼손가락 가장자리를 따라 피부
Function: 피부와 지방을 안쪽으로 당겨 그립 개선에 도움을 줌
Form: 측면을 따라 주름진 움푹 들어간 부분 생성

 

 

단장근은 우리가 배웠던 소지구근에 형태들에 비해서 뭔가 다릅니다. 각도도 형태도 방향도 다릅니다.

우리는 저번 하박시간에 장장근에대해서 배웠던 기억이 있을것입니다. 이녀석도 그것과 같은류의 근육입니다.

물론 장장근처럼 퇴화하여 없는 근육은 아닙니다.

단장근의 형태

 

 

단장근이 만들어내는 요철

 

 

 

 

 

 

배측골간근(First Dorsal Interosseous, 背側骨間筋)

배측골간근(背側骨間筋, First Dorsal Interosseous)

 

 

1배측골간근(背側骨間筋, First Dorsal Interosseous)

Origine: 엄지손가락 중수골 상반부의 머리 하나와 검지 중수골 측면의 머리
Insertion: 검지 근위지골 기저부
Function: 검지손가락을 외전 가운데 손가락
Form: 엄지와 검지 중수골 사이의 달걀 모양 돌출부

 

영어명에서 First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배측골간근은 여러개입니다. 허나 일반적으로  관측할수 있는건 첫번째, 그러니까 엄지와 검지 사이에있는 근육입니다. 따라서 이번학습에서는 첫번째 배측골간근을 중심으로 보려고합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병두껑을 열때 피하지방이 적다면 관측 될수 있습니다.)

 

배측골간근의 형태

 

실제 손에서 둥근 달걀모양의 형태를 볼 수 있습니다.

배측간골의 형태

 

배측골간은 2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검지에서 나오는 것과 엄지에서 나오는것 반반의 형태로 이루어져있으며, 피부조직이 같이있어 혼란스러울수 있습니다. 이러한 근육의 형태와 피부조직의 형태를 구별하여야합니다.

 

근육의 흐름(청색)과 피부의 흐름(적색), 청색 아래로 튀어나온 배측간골이 보인다.

 

 

2-4배측골간근(背側骨間筋, First Dorsal Interosseous)

Origine: 중수골
Insertion: 손가락 등쪽의 근위 지골 및 신근 힘줄
Function: 중지 및 약지 외전
Form: 중수골 사이의 틈을 채웁니다. 밀어내지 않는 한 보이지 않습니다. 그들은 주로 중수골 사이의 공간을 부드럽게 합니다.

 

2-4배측골간근의 형태

늘 그러하듯이 예외는 있습니다.

보통 보이진 않지만, 병뚜껑을 열거나 하는 행위등에서 노출이 이러납니다.

부풀어 튀어나온 2-4 배측골간근

충양근(lumbricals, 蟲樣筋)

Origine: 심지 굴근의 힘줄
Insertion: 팔뚝에서 나오는 신근의 힘줄
Function: 중수 지절 관절을 구부리고 지절간 관절을 폄
Form: 손바닥에 벌레 모양의 근육 4개. 손바닥 지방으로 덮여 있지만 가끔 눈에 띕니다.

 

한자 그대로 벌래처럼 생긴 근육이라고합니다. 지방층 때문에 거의 볼수 없지만, 지방이라는건 사람마다 다르고, 디자인에서 다르게 구성이 가능함으로 알고 넘어갑시다.

충양근의 형태

 

 

마무리

이번 과제에는 실제 사진을 보고 뼈대를 그리고 근육을 그리는 연습을 해봅니다.

이에따라 근육과 뼈의 위치를 파악하고 변화의 형태를 확인합니다.

 

 

실습

1.URL

반응형

 

'그림 >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뼈 에대해서  (0) 2021.08.30
다리뼈에 대해서  (0) 2021.08.28
하박 근육에 대해서  (0) 2021.08.11
상박 근육(삼두박근)에 대해서  (0) 2021.08.07
상박 근육(상완신근, 상완이두근, 오훼완근)에 대해서  (0) 2021.08.02